출처 : http://support.microsoft.com/?id=832017

 

포트프로토콜응용 프로그램 프로토콜시스템 서비스 이름
n/aGREGRE(IP 프로토콜 47)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n/aESPIPsec ESP(IP 프로토콜 50)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n/aAHIPsec AH(IP 프로토콜 51)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7TCPEcho단순 TCP/IP 서비스
7UDPEcho단순 TCP/IP 서비스
9TCPDiscard단순 TCP/IP 서비스
9UDPDiscard단순 TCP/IP 서비스
13TCPDaytime단순 TCP/IP 서비스
13UDPDaytime단순 TCP/IP 서비스
17TCPQuotd단순 TCP/IP 서비스
17UDPQuotd단순 TCP/IP 서비스
19TCPChargen단순 TCP/IP 서비스
19UDPChargen단순 TCP/IP 서비스
20TCPFTP 기본 데이터FTP 게시 서비스
21TCPFTP 제어FTP 게시 서비스
21TCPFTP 제어응용 프로그램 레이어 게이트웨이 서비스
23TCP텔넷텔넷
25TCP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25UDP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25TCPSMTPExchange Server
25UDPSMTPExchange Server
42TCPWINS 복제Windows 인터넷 이름 서비스
42UDPWINS 복제Windows 인터넷 이름 서비스
53TCPDNSDNS 서버
53UDPDNSDNS 서버
53TCPDNS인터넷 연결 방화벽/인터넷 연결 공유
53UDPDNS인터넷 연결 방화벽/인터넷 연결 공유
67UDPDHCP 서버DHCP 서버
67UDPDHCP 서버인터넷 연결 방화벽/인터넷 연결 공유
69UDPTFTPTrivial FTP 데몬 서비스
80TCPHTTPWindows Media 서비스
80TCPHTTPWorld Wide Web 게시 서비스
80TCPHTTPSharePoint Portal Server
88TCPKerberosKerberos 키 배포 센터
88UDPKerberosKerberos 키 배포 센터
102TCPX.400Microsoft Exchange MTA 스택
110TCPPOP3Microsoft POP3 서비스
110TCPPOP3Exchange Server
119TCP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123UDPNTPWindows 시간
123UDPSNTPWindows 시간
135TCPRPC메시지 대기열
135TCPRPC원격 프로시저 호출
135TCPRPCExchange Server
135TCPRPC인증서 서비스
135TCPRPC클러스터 서비스
135TCPRPC분산 파일 시스템
135TCPRPC분산 링크 추적
135TCPRPC분산 트랜잭션 코디네이터
135TCPRPC이벤트 로그
135TCPRPC팩스 서비스
135TCPRPC파일 복제
135TCPRPC그룹 정책
135TCPRPC로컬 보안 기관
135TCPRPC원격 저장소 알림
135TCPRPC원격 저장소 서버
135TCPRPCSystems Management Server 2.0
135TCPRPC터미널 서비스 라이선스
135TCPRPC터미널 서비스 세션 디렉터리
137UDPNetBIOS 이름 확인컴퓨터 브라우저
137UDPNetBIOS 이름 확인서버
137UDPNetBIOS 이름 확인Windows 인터넷 이름 서비스
137UDPNetBIOS 이름 확인Net Logon
137UDPNetBIOS 이름 확인Systems Management Server 2.0
138UDPNetBIOS 데이터그램 서비스컴퓨터 브라우저
138UDPNetBIOS 데이터그램 서비스메신저
138UDPNetBIOS 데이터그램 서비스서버
138UDPNetBIOS 데이터그램 서비스Net Logon
138UDPNetBIOS 데이터그램 서비스분산 파일 시스템
138UDPNetBIOS 데이터그램 서비스Systems Management Server 2.0
138UDPNetBIOS 데이터그램 서비스라이선스 로깅 서비스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컴퓨터 브라우저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팩스 서비스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성능 로그 및 경고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인쇄 스풀러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서버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Net Logon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원격 프로시저 호출 로케이터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분산 파일 시스템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Systems Management Server 2.0
139TCPNetBIOS 세션 서비스라이선스 로깅 서비스
143TCPIMAPExchange Server
161UDPSNMPSNMP 서비스
162UDPSNMP 트랩 아웃바운드SNMP 트랩 서비스
389TCPLDAP 서버로컬 보안 기관
389UDPLDAP 서버로컬 보안 기관
389TCPLDAP 서버분산 파일 시스템
389UDPLDAP 서버분산 파일 시스템
443TCPHTTPSHTTP SSL
443TCPHTTPSWorld Wide Web 게시 서비스
443TCPHTTPSSharePoint Portal Server
443TCPRPC over HTTPExchange Server 2003
445TCPSMB팩스 서비스
445TCPSMB인쇄 스풀러
445TCPSMB서버
445TCPSMB원격 프로시저 호출 로케이터
445TCPSMB분산 파일 시스템
445TCPSMB라이선스 로깅 서비스
445TCPSMBNet Logon
464TCPKerberos Password V5Net Logon
500UDPIPsec ISAKMP로컬 보안 기관
515TCPLPDTCP/IP 인쇄 서버
548TCPMacintosh용 파일 서버Macintosh용 파일 서버
554TCPRTSPWindows Media 서비스
563TCPSSL 상의 NNTP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593TCPRPC over HTTP 끝점 매퍼원격 프로시저 호출
593TCPRPC over HTTPExchange Server
636TCPLDAP SSL로컬 보안 기관
636UDPLDAP SSL로컬 보안 기관
993TCPSSL 상의 IMAPExchange Server
995TCPSSL 상의 POP3Exchange Server
1067TCP설치 부트스트랩 서비스설치 부트스트랩 프로토콜 서버
1068TCP설치 부트스트랩 서비스설치 부트스트랩 프로토콜 클라이언트
1270TCPMOM-EncryptedMicrosoft Operations Manager 2000
1433TCPTCP를 통한 SQLMicrosoft SQL Server
1433TCPTCP를 통한 SQLMSSQL$UDDI
1434UDPSQL ProbeMicrosoft SQL Server
1434UDPSQL ProbeMSSQL$UDDI
1645UDP레거시 RADIUS인터넷 인증 서비스
1646UDP레거시 RADIUS인터넷 인증 서비스
1701UDPL2TP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1723TCPPPTP라우팅 및 원격 액세스
1755TCPMMSWindows Media 서비스
1755UDPMMSWindows Media 서비스
1801TCPMSMQ메시지 대기열
1801UDPMSMQ메시지 대기열
1812UDPRADIUS 인증인터넷 인증 서비스
1813UDPRADIUS 계정인터넷 인증 서비스
1900UDPSSDPSSDP 검색 서비스
2101TCPMSMQ-DC메시지 대기열
2103TCPMSMQ-RPC메시지 대기열
2105TCPMSMQ-RPC메시지 대기열
2107TCPMSMQ-Mgmt메시지 대기열
2393TCPOLAP Services 7.0SQL Server: 하위 수준 OLAP 클라이언트 지원
2394TCPOLAP Services 7.0SQL Server: 하위 수준 OLAP 클라이언트 지원
2460UDPMS TheaterWindows Media 서비스
2535UDPMADCAPDHCP 서버
2701TCPSMS 원격 제어(제어)SMS 원격 제어 에이전트
2701UDPSMS 원격 제어(제어)SMS 원격 제어 에이전트
2702TCPSMS 원격 제어(데이터)SMS 원격 제어 에이전트
2702UDPSMS 원격 제어(데이터)SMS 원격 제어 에이전트
2703TCPSMS 원격 이야기방SMS 원격 제어 에이전트
2703UPDSMS 원격 이야기방SMS 원격 제어 에이전트
2704TCPSMS 원격 파일 전송SMS 원격 제어 에이전트
2704UDPSMS 원격 파일 전송SMS 원격 제어 에이전트
2725TCPSQL Analysis ServicesSQL Analysis Server
2869TCPUPNP범용 플러그 앤 플레이 장치 호스트
2869TCPSSDP 이벤트 알림SSDP 검색 서비스
3268TCP글로벌 카탈로그 서버로컬 보안 기관
3269TCP글로벌 카탈로그 서버로컬 보안 기관
3343UDP클러스터 서비스클러스터 서비스
3389TCP터미널 서비스NetMeeting 원격 데스크톱 공유
3389TCP터미널 서비스터미널 서비스
3527UDPMSMQ-Ping메시지 대기열
4011UDPBINL원격 설치
4500UDPNAT-T로컬 보안 기관
5000TCPSSDP 레거시 이벤트 알림SSDP 검색 서비스
5004UDPRTPWindows Media 서비스
5005UDPRTCPWindows Media 서비스
6001TCP정보 저장소Exchange Server 2003
6002TCP디렉터리 조회Exchange Server 2003
6004TCPDSProxy/NSPIExchange Server 2003
42424TCPASP.NET 세션 상태ASP.NET 상태 서비스
51515TCPMOM-ClearMicrosoft Operations Manager 2000
1024-65534TCPRPC임의로 할당된 상위 TCP 포트

 

 

Microsoft는 Microsoft Excel 워크시트로 이 표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워크시트는 Microsoft 다운로드 센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지금 Port_Requirements_for_Microsoft_Windows_Server_System.xls 패키지 다운로드

안정적인 DNS서비스 DNSEver DNS server, DNS service
Posted by 키르히아이스
,

https://remote.utorrent.com/

안정적인 DNS서비스 DNSEver DNS server, DNS service
Posted by 키르히아이스
,

 



 
 
 
          프로그램: FastStone Image Viewer
          최신버젼: 2007년01월18일 Ver. 2.9 
          사용분야: 이미지뷰어 
          운영체제: Windows 
          라이센스: 공개 ( Freeware, 비영리 단체 및 개인에 한해서 공개 )
 
          제 작 사: FastStone 
          홈페이지
http://faststone.org/
 
            난 이 도: 쉬움
 
 
 
 
- 정부의 이번 부동산 정책이 이미지 뷰어에 미치는 영향 !?
 
윈도우즈에는 JPG, BMP, TIF 파일들을 볼 수 있는 '윈도우즈 픽쳐 & 팩스 뷰어' 라는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을 기본
적으로 내장하고 있습니다. 디지탈 카메라의 보급이 활발해 지면서 이미지 파일의 종류가 다양해 
고 
여러가지 가기능을 필요로 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향상된 성능과 기능을 추가한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이 사자들로 하여금 큰 관심을 받고 있으며 사용자 시장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다양한 기능
의 이미지 
뷰어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알씨, 꾸준한 성장을 이어 온 ACDSEE, 모듈화 구조로 필요한
플러그
인을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한 IrfanVIEW, 가벼운 몸무게를 자랑하는 XnVIEW 등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프로그램은 ' FastStone Image Viewer ' 로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제멋대로 우리말 풀이를
해 본다면 '날쌘 돌' 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만큼 빠르다는 이야기!? 회사 또는 제작자의 닉네임!? 두리모는 알
길이 없습니다. ^^
 
다양한 이미지 뷰어들이 현재 출시되어 있고, 각 이미지 뷰어 마다 특화된 장점들이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비교는
사실상 힘들것 같습니다. 너무 방대한 분량과 물량으로 이야기의 주제가 역시나 삼천포로 빠질 가능성이 크기 때
문에 일단 스톱! 하고 이미지 뷰어들의 현재의 위치, 앞으로의 방향 그리고 부동산 정책의 방향 !?? 에 대한 이야기
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 이번 부동산 정책이 시장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줄 지는 누가 알까요? !$%^&!? 어허둥둥 어절씨구 여기까지...! "
 

 
 
- 이미지 뷰어 시장의 동향
 
윈도우즈 초기부터 꾸준하게 성장해 온 ACDSEE를 한 예로 들어보면 이미지를 볼 수 있는 단순한 뷰어 기능에서
시작하여 버젼업이 새롭게 발표될 때 마다 이미지 앨범관리, 이미지 편집 등의 기능이 추가되어, 현재에는 다이어
트가 필요할 정도로 몸이 무거워져 있습니다. 무거워진 무게 만큼 처음에 보여주었던 재빠른 동작은 기대하기는
어렵게 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이미지 뷰어들도 초기에는 단순한 뷰어기능만으로 시작하여, 기능이 하나, 둘 추가가 되면서 ACDSEE와
닮은꼴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편의를 고려하여 기능이 추가되는것은 바람직한 일이겠지만,  이미지 뷰
어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빠른 이미지 로딩' 기능에 더 초점을 잡아주면 어떨까 하는 바램을 가지게 됩니다.
 
우리들이 사용하는 압축파일의 경우에도 현재 압축효율의 변화는 크게 없으며 거의 평준화를 이룬 상태에 와 있습
니다. 그러다보니 압축 효율에 대한 차별성 보다 편의 기능을 앞다투어 추가하는것 처럼, 이미지 뷰어의 경우에도
컴퓨터의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로딩 속도 경쟁에서 큰 차별화를 선점하기 힘들다는 결론에 도달해 있다고 생각 
됩니다. 시대적인 상황이 그러하다보니 기능 추가를 통해 차별화를 선점하려는 제작사의 속내를 추측 가능하게 합
니다. 그러한 추측과 가설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 속도의 차이는 제법 크게 느껴지는데
말이죠.
 
그렇습니다. 이미지 뷰어 시장의 동향은 한마디로 수산시장입니다. 거대한 참치가 있는가 하면 멸치도 있죠. 어떤
생선이 최고의 맛! 이라고 딱 하나를 정하기에는 개인의 입맛에 따라 결과는 많이 다르겠죠.
 
 
 

 
- 멸치는 먼 미래의 참치를 꿈꾸며, 참치는 먼 미래의 고래를 꿈 꾸다. 
 
ACDSEE가 근육으로 몸 부풀리기를 하고 있을 동안, 주변 틈새에는 날쌘 속도를 주특기로 한 이미지 뷰어들이 속
속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 FastStone Image Viewer'는 재빠른 속도
를 자랑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중 하나 입니다. 그렇지만 역시나  FastStone Image Viewer 도 ACDSEE와 비슷한
큰 덩치로 성장할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날씬한 몸매와 날쌘 동작을 보여주고 있지만, 새롭게 버젼업 (빌드업) 이 될 때 마다 하나씩 기능이 추
가되는 것을 보면 앞으로도 '날쌘 돌'의 재빠른 모습을 보여줄지는 장담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FastStone Image Viewer 에 대한 본격적인 소개에 앞서 생선가게 주인장의 이야기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 Photoshop Adobe Bridge - " 옆에서 자꾸 시끄럽게 굴면 다 먹어버린다! 어흥~ "
바다표 국민생선? 고래입니다. 포토샵에 추가된 이미지 브라우져로 이미지를 쉽게 찾고 관리하는 목적이 강합니
다. 이미지 뷰어라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만, 현재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들은 뷰어, 편집, 관리 이렇게 세가
지를 모두 포함하면서 솔루션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오늘 소개에 잠깐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속도는 
느리지만 포토샵이 배후에 있기에 무시할 수 없는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 PICASA - " 우리 뒷집이 구글 대형마트인거 알지? 다들 긴장하라구~ "
알뜰시장을 표방한 대형마트 '구글'의 영향력은 이미지 관리 프로그램에서도 뚜렷한 흔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려한 화면과 막강한 앨범관리 기능을 특징으로 구글 네트웍의 요리사들이 앞으로 어떤 요리를 보여줄지 기대되
는 프로그램입니다. 다만 이미지 로딩 속도에서는 크게 빠르다는 느낌을 받기 어렵습니다. 맛은 좋으나 요리하는 
시간이 조금 길죠.^^
 
 
 
 
* ACDSEE - " 이미 난 멸치에서 참치로 컸어. 고래 되는건 시간 문제야~ "
이미지 뷰어, 이미지 관리 시장에서는 멸치에서 고래급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프로그램중 하나입니다. 완성도, 편
의성 모든 면에서 합격점을 주면 딱 좋은데 아쉽게도 늘어난 뭄무게에 비해 전체적인 동작 속도가 큰 단점으로 지
적되고 있습니다.

처음에 보여 주었던 빠른 속도의 장점을 제외하더라도 다양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도 충분
한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XnVIEW - " 참치가 멸치적 생각 못하는군! 난 멸치의 맛과 전통을 지켜갈테야~ "
이미지 뷰어 기본의 기능을 충실히 이어가고 있는 몇 않되는 프로그램중 하나입니다. 큰 특징으로는 400여가지의 
수많은 이미지 파일들을 다룰 수 있으며 Minimal, Standard, Complete 세가지 버젼으로 다양한 크기의 생선을 무
료로 배포하고 있습니다.
 
 
 
 
* IrfanVIEW -" 우리 사장님이 이번에 생선 뷔페 차리셨어. 필요한것만 골라 먹도록 해~ "
뷔페식 식사처럼 원하는 요리만 골라 먹을 수 있도록 해당 기능들을 모듈화 하여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
을 가지고 있습니다. 포식하면 배부르죠? 역시나 플러그인을 많이 설치하면 생각보다 덩치가 커지고 메뉴가 다양
해서 사용법이 다른 프로그램에 비해 난이도가 약간 높은 편입니다.
 
 
 
* FastStone - " 넌 뷔페? 좋아! 그럼 난 식료품 코너. 필요한건 따로 포장 가능 깔끔하게 골라 먹자~ "
아직까지는 빠른 속도를 보여주고 있지만 FastStone Image Viewer 는 점점 덩치가 커지고 있습니. IrfanVIEW 의 
경우IrfanVIEW 내부에서 실행이 가능 하도록 모듈화 되어 있지만, FastStone 의 경우 독립적으로 실행이 가능하도
록 캡쳐, 뷰어, 리사이저등 작은 크기의 프로그램으로 재포장하여 배포되고 있습니다.

 
 
* 알씨 - " 수입생선보다 역시 우리 밥상에는 우리생선이 최고 아니겠어? "
알집으로 유명한 이스트소프트에서 개발한 알툴 시리즈의 하나로 국내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인 만큼 한글지원이 
완벽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집의 제작사 답게 압축파일도 지원하고 인화서비스와 바로 연결할 
수 있는 기능도 지원 합니다. 알툴의 이름에서 느껴지듯 아기자기게 잘 꾸며진 팬시용품점을 떠올리게 하는 프로
그램입니다.
 
대부분의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들은 단순히 뷰어 기능에서 머물지 않고 포토샵과 같이 이미지 전문 프로그램들이 
없더라도 어느정도 이상의 편집과 관리가 가능한 형태로 발전되어 가고 있습니다.
 
 


 
- FastStone Image Viewer 의 특징

 
 
1) 간결하고 친숙한 구성
 
FastStone Image Viewer 는 레이아웃을 크게 '브라우져', '뷰어', '툴' 이렇게 3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
다. 이미지를 찾고 썸네일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는 '브라우져' 화면. 이미지 관리를 목적으로 한 '이미지 툴' 화
면. 마지막으로 이미지 파일 을 볼 수 있는 '이미지 뷰' 화면 이렇게 3가지로 구성되며 대부분의 이미지 뷰어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레이아웃이기도 합니다.
 
 
 
 
윈도우즈 탐색기와 닮은 친숙한 구성으로 프로그램 화면 곳곳마다 사용자들을 배려한 아이콘들이 준비되어 있습
니다. 다른 프로그램들과 큰 차이를 느낄 수 없는 단조로운 구성은 사용자에 따라서 간결하고 사용하기 쉽게 느껴
질 수도 있고 정반대로 밋밋하고 심심한 느낌을 줄 수도 있습니다. 그 심심함을 덜어주기 위해 몇가지 스킨이 제공
됩니다.
 
스킨은 기능의 변화 없이 단순히 프로그램의 스타일(색,테두리)을 바꾸어 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우리가 세수를 하
고 스킨을 얼굴에 바른다고 성형수술이 되는것은 아니죠? 비슷합니다. 본래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멋을 더해주는
기능이죠.
 
 
보통 스킨 기능이 제공되면 사용자 스킨, 즉 사용자의 입맛에 따라 편집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하기 마련인데 아쉽
게도 사용자 스킨 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준비된 몇가지 스킨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2) 얼마나 빠른가? 정말 빠른거야?
 
FastStone Image Viewer 에 관련된 글을 읽다보면 가볍고 빠르다는 이야기가 많이 등장하지만 다른 프로그램들
과 비교해서 썸네일을 보여주는 방식과 하나의 이미지를 출력해주는 방식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비교가 될 정
도로 빠른편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느린편도 아니고 거의 느끼기 힘들 정도로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들 간의 속도 격차가 많이 평준화 되었
습니다. 1초, 2초 차이가 기술적인 면에서는 큰 차이지만 실제 사용함에 있어 1~2초 차이는 다른 프로그램들과 비
교해서 불편할 정도로 큰 편차를 느끼기 어렵습니다.
 


 
 
3)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 지원
 
이미지 뷰어가 거대해 지면서 동영상 뷰어의 기능도 포함되어 있는 프로그램들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한번에 여
러가지 종류의 형식을 볼 수 있어 편리하지만 실행 속도가 현격하게 느려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동영상 뷰어
기능을 제공하는 대다수 프로그램의 경우 필터기능을 추가하여 동영상 뷰어 사용을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면에서 초기 구동시 조금은 빠른듯한 느낌을 줄 수도 있습니다. 속도의 차이는 작은곳에서 부
터 !? ^^
 
FastStone Image Viewer는 다양한 이미지 형식을 볼 수 있으며 또한 갈무리, 변환 작업들을 통해 생선된 이미지 
파일을 여러가지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볼 수 있는 파일 형식 : JPEG, BMP, GIF, PNG, TIFF, PCX, TGA, JPEG2000, PSD, WMF, CUR, ICO
 
저장 할 수 있는 파일 형식 : JPEG, JPEG2000, BMP, GIF, PNG, TIFF, PCX, TGA
 
디지탈 카메라의 RAW 이미지 파일을 지원합니다. RAW 파일의 로딩 속도는 상당히 빠른 편이지만 카메라 제작사
에서 별도로 제공하는 RAW  플러그인이나 RAW 파일 형식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들과 비교하면 뷰어상에
표현되는 색상에서 약간씩 차이를 보입니다.  
 
디지탈 카메라 RAW 파일 형식 : CRW, CR2, NEF, PEF, RAF, MRW, ORF, SRF, DNG
 
 

 
 
4) 다양한 이미지 보기 방법
 
작은 사이즈의 썸네일 이미지 보기, 폴더 트리 아랫쪽에 선택된 이미지의 프리뷰, FastStone Image Viewer 가 실
행된 창에서 이미지 보기, 전체화면 보기. 이렇게 4가지의 다양한 이미지 보기 화면을 제공합니다.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경우,  프리뷰 화면을 두개의 모니터중 하나의 모니터에 전체화면으로 보여주는 듀얼 모니
터 기능이 지원 됩니다. 그 외에 이미지 슬라이드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도 선택적으로 듀얼 모니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작아서 답답하다~ 마우스 원클릭 돋보기 기능
 
'프리뷰, 윈도우 창 보기, 전체화면 보기' 에서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정해진 배율로 이미지를 한번에
확대해서 볼 수 있도록 원클릭 확대(돋보기) 기능을 지원합니다. 마우스 사용 이외에도 키보드의 +키(확대) -키(축
소)를 할 수 있으며 숫자 키를 이용하여 정해진 배율로 돋보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6) 숨은그림 찾기 !?
 
최대 4개의 이미지를 서로 비교할 수 있는 재밌는 기능을 지원합니다. 용도에 따라서 여러창을 동시에 열지 않더라
도 원본과 편집본을 비교해 볼 수도 있어 편리합니다. 사용방법은 2개에서 4개까지 이미지를 선택후 키보드 P 키
를 누르거나 메뉴의 Compare Selected Images 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7) 포토샵까지 갈 필요가 뭐 있어~ 필요한건 다 있네 그려~
 
별도의 이미지 편집프로그램 거치지 않더라도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미지 편집도구를 지원합니다.
썸네일 화면 보기, 윈도우 창 보기, 전체화면 보기 어느곳에서도 메뉴 및 편집 아이콘을 통해 편집이 가능합니다.
 
 




 
 
8) 어허! 너무 복잡하네~ 파일관리를 해야겠군!
 
어느날 폴더를 열어보니 여기저기서 다운 받은 이미지들, 디카에서 순서없이 하드디스크로 저장된 파일들. 복잡하
게 한곳에 몰려 있습니다. 보기만 해도 머리가 복잡합니다. 깔끔하게 정리를 해야겠습니다.
 
 
Batch Rename :
파일들을 순서대로 보기 편하도록 숫자, 년, 월, 일, 시, 분 , 초, 폴더이름등을 이용하여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
습니다.
 
Batch Convert :
기본적으로 파일형식의 변환작업 이외에도 Advanced Options 를 통해  리사이즈, 회전, 크롭, 색 깊이(다이나믹
레인지), 
밝기, 색대비, 감마, 색상, 채도, 명도, RGB, 톤, 선명도, 흐려짐효과 등 대부분의 편집기능을 한번에 일괄
적으로 적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파일관리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예방기능이 하나 추가되었습니다. ^^
 
Download from Memory Card:
지정한 형식의 폴더이름, 파일이름으로 메모리 카드에서 하드디스크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JPEG 파일에 메모를 남길 수 있는 JPEG Comment 기능과 파일속성의 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imestamp
기능이 지원됩니다.
 



 
 
9) 어느 폴더였지? 기억이 가물가물~
 
Favorites: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즐겨찾기 기능 처럼 자주 사용하는 폴더를 미리 지정해 둘 수 있습니다. 폴더들이 많아서 여
기저기 
찾으러 다닐때 유용합니다.
 
History:
이전 단계에서 본 폴더가 히스토리 라인에 기록되어 전 단계에서 봤던 폴더를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직접
타이핑을 
해서 폴더 위치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폴더 주소의 복사, 붙여넣기가 가능합니다.
 
TAG:
체크박스의 기능을 해주는 태그기능을 지원합니다. 마음에 드는 파일들을 태깅해주면 나중에 태깅된 파일들만 따
로 볼 수 있
습니다. 한 폴더에 이미지 파일들이 많을 때 유용하겠죠.
 




 
 
10) 갈무리(캡쳐)를 하고 싶다고?
 
별도의 갈무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갈무리를 할 수 있도록 2가지 형태의 갈무리 방법을 지원
하고 있습니다. 
 
Screen Capture: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장면 갈무리로 화면상의 이미지 갈무리 할 수 있습니다. 전문적인 갈무리 프로그램에 비하면
기능적으로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간단한 갈무리 작업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갈무리된 파일의 저장 방법
은 뷰어에서 편집이 가능하
도록 저장하는 뷰어 저장 방법과, 클립보드 저장, 파일형태로의 저장 이렇게 3가지 저장
방법을 지원합니다.
 
Scan Board:
스캔보드라는 약간은 낯선 이름의 메뉴로 갈무리의 범주안에 포함 되는 기능입니다. 스캔보드는 영상 입력 기기의
프로그램에서 
갈무리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들면 스캐너의 문서를 복사하는 기능이나 웹캠, TV카드등의
영상을 갈무리 할 수 있습니다.
 
 


 
11) 분위기좀 잡아볼까?
 
이미지들을 정해진 시간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바꿔가면서 보여주는 슬라이드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있습
니다. 명절날 친척들과 함께 가족앨범을 본다거나 할 때 그냥 이미지만 나오면 조금 밋밋하겠죠? 컴퓨터로 그녀의
또는 그넘의 사진들을 보여줄 때, 잔잔하니 배경음악이 깔려주면 분위기가 업! 되고 더 진한 감동을 줄 수 있겠죠.
아무래도 제작사에서 작업용 기능을 넣은듯 합니다. ^^
 
 
음악파일 형식은 MP3, WMA, WAV, MIDI, MID 등이 지원 됩니다. 
 


 
 
- 마치며~
 
 
중국 음식점에 가면 기본 메뉴인 짬뽕, 짜장면, 군만두, 탕수육은 어느 중국 음식점을 가더라도 아주 맛없는 경우
를 제외하면 비슷한 맛을 느끼게 해줍니다. 빠른 속도를 특징으로 하고 있지만 어쩌면, FastStone Image Viewer
도 중국음식의 기본메뉴와도 비슷한 느낌을 줍니다. 맛이 중심이 되는 식당인데도 맛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손님
이 휴지, 물, 수저 등을 찾기 편하게 잘 차려진 테이블과 손님을 대하는 직원들의 친절한 서비스를 생각해 볼 수 있
습니다. FastStone Image VIewer 를 음식점에 비교해 본다면 맛은 비슷하지만 손님이 편하게 찾을수 있도록 구성
된 깔끔한 테이블을 떠올릴 수 있습니다.  
 
부동산과 생선 얘기로 시작해서 끝은 깔끔한 테이블로 끝나네요. 어허둥둥~ 
오늘도 긴 글 끝까지 잃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ETC > 컴퓨터 관련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일 복사 툴  (0) 2013.02.27
리모트 토렌트  (0) 2013.02.27
한중일 키보드 입력 방법을 파헤친다!  (0) 2013.02.27
XXCOPY  (0) 2013.02.27
MS Windows System Error Codes  (0) 2013.02.27
안정적인 DNS서비스 DNSEver DNS server, DNS service
Posted by 키르히아이스
,

출처 : http://www.ebuzz.co.kr/content/buzz_view.html?ps_ccid=24103

 

한중일 키보드 입력 방법을 파헤친다!

21세기는 세계화 시대다. 지구 반대편에 있는 소식도 네트워크를 타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뉴스를 통해 어느 나라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도 손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말 그대로 지구촌이라 부를만하다.



그런데 아무리 다른 나라 소식을 빨리 접할 수 있다고 해도 지리, 시간, 문화적 차이로 인해 쉽게 이해하지 못할 일들이 적지 않다. 특히 언어가 가장 큰 걸림돌인데 오늘은 한국과 중화권, 일본어를 통해 다른 나라의 PC 키보드 입력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반각과 한자 변환이 일본어 입력의 핵심
PC 키보드 입력 방법을 알아보기 전에 미리 몇 가지 PC 원리를 알아보자. PC가 미국에서 만들어졌다는 것은 알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PC도 처음에는 영어만 사용할 수 있었고 영어 알파벳 한 개는 1바이트 코드를 쓴다. 그런데 PC 보급이 이뤄지면서 다른 나라 언어, 특히 아시아권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1바이트가 아닌 2바이트 코드가 필요하다. 이는 한글이나 일본어도 마찬가지다. 결국 한 문자가 차지하는 용량이 두 가지가 되어 버린 셈이다.

PC에서 일본어를 입력할 때 전각과 반각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전각이란 어느 문자 크기 비율이 1:1인 것을 말하고 반각은 전각의 절반 크기(실제 눈으로 보이는 크기도 절반이며 전각은 2바이트, 반각은 1바이트를 사용한다)를 가진 문자를 뜻한다.

일반적인 가타카나 일본어는 전각으로 입력하지만 반각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반각은 영어와 동일한 1바이트를 사용하므로 세계 표준에 적합하며 전각에 비해 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어 반각 표준을 JIS X0201이라 부른다. 다만 일본어 반각은 호환성이 좋지 않아 웹페이지 인코딩이 어렵고 일본어는 한자와 문절 기호 등을 사용하므로 전각에 비해 용량이 그리 많이 줄지는 않는다.

PC 키보드로 일본어를 입력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 가타카나를 직접 키보드로 입력하거나 일본어 발음을 영어로 쓰면 된다. 예를 들어 '사랑'이란 단어를 일본어로 입력한다면 사랑은 일본어 발음으로 '아이'이므로 영문 키보드 자판 'A'와 'I'를 누르면 'あい'가 된다. 이게 끝이 아니다. 사랑은 한자로 사랑 '애(愛)'이므로 아이(あい) 입력 후에 오른쪽에 나타나는 팝업창에서 한자 '愛'를 선택하면 된다. 물론 일본어 워드프로세서에서는 이 과정이 대부분 자동으로 이뤄진다.

YNK JAPAN에서 일하고 있는 김상하씨는 "사실 일본어는 띄어쓰기가 없고 한자를 섞어 쓰지 않으면 의미 전달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타가나, 히라가나로 문장을 입력한 다음 몇몇 단어는 한자로 바꿔줘야 정확하게 상대방에게 내 의도를 말할 수 있습니다." 같은 뜻을 가진 문장이라도 히라가나로 쓰면 무슨 의미인지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는 뜻.

그리고 반각은 공백을 두는 용도로도 쓰인다. 중간에 오타가 발생한 단어(한자)를 다른 단어로 바꾸려면 바로 뒤에 붙은 단어 때문에 원하는 한자가 제대로 입력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PC 키보드로 일본어를 입력하려면 반각과 한자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 병음으로 글자 입력하는 중국어
이번에는 중국어 입력 방법도 일본어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워낙 한자 문화권이 넓다 보니 입력 방법에 차이점이 존재한다. 중국어는 크게 간체와 번체로 나뉜다. 간체는 중국 본토와 싱가포르에서 주로 사용하며 복잡한 한자를 간단하게 변형한 것이다. 이와 달리 번체는 대만과 한국, 동남아시아 등에서 쓰는 정통 한자다.

우선 간체 한어병음을 살펴보자. 간체 한어병음은 중국어 발음을 영어로 입력해 한자로 대치하는 것으로 주로 중국 본토에서 많이 쓴다. 예컨대 '사랑해요'를 입력할 경우 중국어 발음으로 '워아이니'이므로 PC 키보드에서 'w, o, a, i, n, i'를 차례대로 입력하면 간체 '蝸愛 '로 바뀐다. 만약 자신이 원하는 한자가 아닐 경우 다른 한자를 찾아 누르면 된다. 윈도의 경우 쉬프트와 방향키 왼쪽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다른 한자로 바꿀 수 있다.

 

간체 한어병음은 지난 1958년 중국에서 제정한 로마자 표음 방법으로 중국어 발음을 영어로 입력하는 것이라 외국인도 간단하게 입력이 가능하지만 정확한 영어 단어를 알고 있어야 하므로 생각보다 쉬운 일은 아니다. 대만에서 파견된 뷰소닉코리아 황이본 대리는 "원하는 한자를 일일이 찾아야 한다는 번거로움은 있죠. 하지만 번체 주음부호의 경우 정확한 한자를 입력할 수 있고 중국어 기초를 탄탄하게 만들어줍니다."

번체 주음부호는 1918년 국민당 정부에서 제정 공포한 중국어 발음 표기법으로 한자의 획 일부를 변형해 PC 키보드에 각인시킨 것이다. 쉽게 설명하자면 영어 알파벳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주로 대만에서 사용하며 중국 본토는 쓰지 않는다. 간체와 번체는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며 한자를 쉽게 표기하고 입력하는 방법에 차이가 있다.

■ 자음과 모음을 구별해 입력하는 한글
한글은 표음문자다. 표음문자란 사람이 말하는 소리를 기호로 나타낸 것을 뜻하는데 낱말에 비해 글자수가 적어 배우고 쓰기가 손쉽다. 이와 다르게 중국어는 표의문자인데 글자를 보면 뜻을 알 수 있지만 발음은 알 수 없는 문자를 말한다. 그래서 각 한자의 음을 표기 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었고 그것이 간체 한어병음과 번체 주음부호다.

기본적으로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이 조합되어 하나의 음절이 만들어지며 PC 키보드 입력 방법은 2벌식, 3벌식이 가장 대표적이다. 2벌식은 현재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으며 기본 4벌식 자판을 개량한 것이다. 그러나 2벌식은 자음과 모음만 구별해 입력을 하게 되므로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우선 '부부'란 단어를 입력할 경우 'ㅂ→부→붑→부부'의 단계로 이뤄지는데 중간에 불필요한 단어인 '붑'이 들어간다. 'ㅂ'이 초성인지 종성인지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2벌식은 'ㄲ, ㅆ, ㄸ, ㅉ, ㅃ'등을 입력하려면 시프트키를 사용해야 하므로 오타율이 3벌식에 비해 높다.

3벌식 한글 기본 원리인 초성, 중성, 종성을 가장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2벌식처럼 시프트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오타율이 적고 빠른 속도로 타자를 칠 수 있지만 표준이 아니라서 사용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

이제까지 한글, 중국어, 일본어 PC 키보드 입력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각 나라마다 사용 방법은 다르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는데 바로 영문 키보드가 밑바탕이라는 것. 서론에서 말했던 것처럼 PC를 영어 문화권에서 만들어 표준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재미있는 점은 현재 표준인 쿼티(QWERTY) 키보드도 그리 효율적이지 않다는 점. 그래서 고안된 것이 드보락 키보드지만 워낙 사람들이 쿼티 키보드에 익숙해져 있어 결국 표준을 바꾸지 못했다.


이수환 기자 shulee@ebuzz.co.kr | 2007-05-21

'ETC > 컴퓨터 관련 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모트 토렌트  (0) 2013.02.27
[유용한 프로그램] FastStone Image Viewer (이미지 뷰어)  (0) 2013.02.27
XXCOPY  (0) 2013.02.27
MS Windows System Error Codes  (0) 2013.02.27
터미날 서비스 포트 변경 RDP Port  (0) 2013.02.27
안정적인 DNS서비스 DNSEver DNS server, DNS service
Posted by 키르히아이스
,